
우선 감가상각과 수익인식비용대응원칙에 대해 생각하지 말고 자산의 개념부터 잡고 시작해보자! 자산이란 무엇인가?? 네이버 부동산에서 자산!!! 을 검색해보자 "개인이나 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유형 또는 무형의 유가치물" 여기서 부터 시작하는 것이지만 모든 유형과 무형의 가치물이 회사의 입장에서 자산으로 인식되지는 않는다. 회계적으로 라고 말하면 거부감이 생기니 최대한 일반화 시켜서 쉽게 생각 해보겠다. 회사의 입장에서 기업활동(이전 게시물 기업활동을 최대한 풀어보면)을 하려면 그러니까 물건을 만들어 팔려면 무언가 물건을 만들때 들어가는 원재료가 필요한데 이때 구매를 위한 ①돈이 필요하고 그돈으로 ②재료를 사서 ③기계장치나 설비에 집어넣고 돌리면 상품이 만들어진다. ④ 상품을 영업사원이 나가서 팔면 돈을 받거..
기업분석/기업체크포인트
2021. 8. 3. 07:39
반응형
250x25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귀금속제련
- fcf활용
- 영업활동현금흐름
- 기업공시채널
- 재무상태표분석
- 000020
- fcf의미
- 투자에날개를달다
- 재무제표분석
- pandas
- 기업리서치
- ebitda
- xlwings
- investwings
- 적정주가계산
- 기업체크포인트
- 한화시스템
- 산일전자
- 재무제표
- python
- 초과수익모델
- 엑셀에날개를달다.
- 기업분석
- 투자유의사항
- 비츠로셀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주식투자
- Feather
- 수익비용대응의원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